본문 바로가기

아카이브/한국여행

디지털 전환에 뒤처진 관광 스타트업의 위기

반응형

글로벌 OTA는 플랫폼 전환 중, 한국 관광 스타트업은 왜 고립되고 있는가?

한국 관광 스타트업

K-콘텐츠 기반 관광 수요가 폭증하는 상황에서도 국내 관광 스타트업 다수는 디지털 전환의 파고를 넘지 못하고 있다.

 

본 보고서는 디지털 전환에서 소외된 국내 스타트업의 위기 배경과 구조적 원인을 분석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산업·정책 전략을 제시한다.


산업 구조 분석: 디지털 OTA 플랫폼의 글로벌 확장

글로벌 OTA는 단순 중개가 아닌 콘텐츠+기술 기반 플랫폼으로 전환되며, 고부가가치 수익 모델을 확보 중이다.

플랫폼 디지털 전환 전략 수익 구조 기술 기반

클룩 맞춤형 팬 투어 알고리즘 예약 수수료 + 후기 기반 재방문 AI 큐레이션
트립닷컴 NFT 티켓팅 + 메타버스 연동 NFT 판매 + 디지털 IP 수익화 블록체인+WebXR
에어비앤비 실시간 예약 API + AR 콘텐츠 제공 체험 연동 패키지 + 후기 기반 유입 API 인프라 + 실감형 콘텐츠

이들은 팬 행동 데이터를 실시간 분석하여 ‘디지털 기반 여행 설계’를 제공하고 있으며, 콘텐츠+기술+데이터의 삼중 구조를 완성하고 있다.


콘텐츠 전략 비교 분석: 외국계 OTA의 기술 중심 콘텐츠 구성

콘텐츠 사례 외국계 플랫폼 구성 국내 스타트업 구성

BTS 댄스 클래스 실시간 예약 + 영상 피드백 제공 오프라인 체험 단독 구성
세븐틴 숙소 체험 NFT 굿즈 포함 + 예약 인증 메일 수기 안내 중심
K-팝 녹음 체험 음성합성 시스템 연동 현장 녹음 + USB 제공

외국계 플랫폼은 기술 기반 몰입 설계, 예약 편의성, 디지털 확장성을 통해 상품 완성도를 높이는 반면, 국내 스타트업은 콘텐츠 원형만 보유한 채 운영 기술이 결여된 상태이다.


국내 여행 산업의 현황과 제약 요인

  1. 디지털 인프라 미비
    • OTA 통합 예약 시스템, API 연동 플랫폼 부재
    • 실시간 다국어 결제, 쿠폰 발행 기능 부족
  2. 데이터 기반 큐레이션 불가능
    • 팬 행동 기반 추천 엔진 미구축
    • 후기, 트렌드, 성향 기반 여정 설계 불가능
  3. 기획-운영 분리 구조
    • 기획은 스타트업, 운영은 외부 위탁 형태 다수
    • 전반적인 체험 경험 품질 저하 초래
  4. 정부 정책 단절
    • 관광 디지털 전환 R&D 지원 미비
    • 플랫폼 중심 지원 아닌 콘텐츠 단위 지원 위주

기회요인 및 전략적 대응 방안

전략명 핵심 아이디어 실행 방안 예상 효과 유의사항

관광 API 인프라 구축 OTA 통합 예약·검색·결제 API 표준화 스타트업 대상 오픈 API 플랫폼 구축 접근성 확대 + 데이터 유통 가능 API 인증 및 안정성 확보 필요
콘텐츠 디지털 패키징 지원 체험형 콘텐츠 → 스마트화 전환 컨설팅 AR 해설, NFT 티켓, SNS 공유 기능 통합 상품 경쟁력 상승 + 후기 기반 확산 콘텐츠 IP 정비 필요
관광 스타트업 공동 운영 플랫폼 실감형 콘텐츠 운영 툴 및 예약 시스템 공유 스타트업 입점 + 예약·운영 통합 시스템 제공 인프라 비용 절감 + 운영 품질 제고 운영주체의 지속 가능성 확보
팬심 기반 여정 추천 AI 팬 SNS 행동 기반 큐레이션 모델 구축 검색 → 여정 자동 설계 → 추천 콘텐츠 노출 예약률 상승 + 사용자 만족도 향상 AI 설계 편향 관리 필요
OTA와의 공동기획 모델 기획 스타트업 + 플랫폼 연계 공동 상품 구성 스타트업이 기획, 글로벌 OTA가 유통 콘텐츠 주도권 확보 + 글로벌 시장 진출 수익배분 구조 명확화 필요

정책적 제언 및 시장 재편 전략

  1. 관광 디지털 전환 R&D 지원체계 확립
    • 실감형 콘텐츠 제작, 예약 인프라 개발, NFT 발행 등 기술기반 과제 중심 지원 전환
    • 디지털 관광 패키지 개발 공모 사업 신설
  2. 디지털 관광 생태계 클러스터 구축
    • OTA, 관광벤처, 콘텐츠 제작사, 기술사 등이 협업 가능한 집적형 생태계 조성
    • 공공-민간 공동 실증 테스트베드 운영
  3. K-콘텐츠 중심 공공 OTA 플랫폼 개발
    • 중소 콘텐츠 기획사가 입점 가능한 오픈마켓 모델 설계
    • AR, AI, NFT, 다국어 예약 등 스마트 기능 내장

결론

K-콘텐츠의 팬심은 세계로 뻗고 있지만, 국내 관광 스타트업은 디지털 인프라 부재로 고립되고 있다.

기술과 연결되지 못한 체험 콘텐츠는 결국 글로벌 OTA의 하청 구조로 전락하게 된다.

 

지금이야말로, 국내 관광 스타트업의 생존을 위한 디지털 전환 전략이 필요하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