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글로벌 팬심을 사로잡는 ‘참여형 콘텐츠’는 무엇인가?
K-팝 팬들은 단순한 관람을 넘어 ‘참여와 몰입’을 중심으로 관광 콘텐츠를 소비하고 있다.
본 보고서는 글로벌 OTA에서 수요가 급증한 대표 K-팝 체험형 관광 상품을 중심으로, 팬 선호도 기반 상위 5개 콘텐츠를 도출하고 산업 전략적 함의를 분석한다.
산업 구조 분석: 팬 기반 체험 상품의 수익 모델화
글로벌 OTA들은 K-팝 팬 콘텐츠를 체험형 관광 상품으로 정교하게 구조화하며, 다음과 같은 수익 모델을 확립하고 있다.
플랫폼 수익화 전략 콘텐츠 활용 방식
클룩 | 예약 수수료 + 번들링 패키지 | BTS 댄스 클래스, 굿즈 포함 투어 |
에어비앤비 | 독점형 체험 콘텐츠 → 고가 판매 | 세븐틴 숙소 1박 체험 |
트립닷컴 | 팬 전용 코스 추천 알고리즘 | 테마형 팬 여정 자동 제안 |
이들은 ‘팬이 가고 싶어 하는 동선’과 ‘기념으로 남기고 싶은 경험’을 상품화하며, 단순 여행이 아닌 ‘팬심 여정’으로 콘텐츠를 재설계한다.
콘텐츠 전략 비교 분석: 팬 선호 기반 TOP5 도출
다양한 체험형 상품 중에서 팬들이 가장 선호하는 항목은 몰입도, 인증 콘텐츠 생산 가능성, 스토리텔링 요소 등에 따라 결정된다.
아래는 팬 선호도 및 수익성과 전략성 기준으로 도출한 TOP5 체험형 관광 콘텐츠이다.
순위 콘텐츠명 팬 선호 포인트 산업 전략적 강점
1위 | BTS 댄스 클래스 | 직접 따라하며 인증 영상 제작 가능 | 고정 팬 수요 확보 + 확산성 높음 |
2위 | K-팝 녹음 체험 | 내 목소리로 아이돌 곡 녹음 | 차별화 콘텐츠 + 굿즈화 용이 |
3위 | 세븐틴 숙소 체험 | 실물 공간 방문 + 굿즈 제공 | 희소성 + 고가 체험 가능 |
4위 | 팬 사인회 전용 팬투어 | 공식 팬 이벤트 동반 | OTA+기획사 협업 모델화 가능 |
5위 | 뮤직비디오 촬영지 로케이션 투어 | 팬 ‘성지순례’ 경로화 | 지역관광 연계 + 데이터화 쉬움 |
이 다섯 가지 콘텐츠는 K-팝 팬덤의 ‘참여 심리’, ‘보상 욕구’, ‘소유 성향’을 정교하게 반영하고 있으며, 글로벌 OTA에서 지속적으로 예약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국내 여행 산업의 현황과 제약 요인
- 콘텐츠 큐레이션 및 운영 부재
- 상품 기획은 있으나, 팬의 ‘여정 설계’ 기반으로 최적화된 구조 미흡
- 글로벌 OTA 대비 접근성 낮음
- 다국어 대응, 팬덤 트렌드 반영, SNS 연계 부족
- 기획사와의 협력 단절
- 체험형 콘텐츠 대부분이 외국계 플랫폼 독점
- 정책 및 생태계 미형성
- 공공 관광 플랫폼과 스타트업 간 연계 미약
전략 제안: 체험형 콘텐츠 고도화 방안
전략명 핵심 아이디어 실행 방안 예상 효과 유의사항
팬심 기반 체험 순위 DB화 | 팬의 검색, 후기, 예약 데이터를 기반으로 선호도 분석 | OTA·SNS 연계 빅데이터 분석 → 체험 선호지수 공개 | 기획 정밀도 향상 + 맞춤형 패키지 가능 | 개인정보 및 AI 분석 정확도 관리 |
인증 콘텐츠 연계 설계 | 체험 결과물 → SNS 인증 콘텐츠 설계 | 영상/녹음/방문 인증 시 NFT 굿즈 발행 | 팬 확산 + 재방문 유도 | IP 저작권 관리 필요 |
테마형 체험 패스 구성 | 2~3개 체험 콘텐츠 번들링 | BTS 댄스 + 녹음 + 팬미팅 대기 패스 구성 | 예약률 상승 + 체류 시간 증가 | 운영 동선 조율 필요 |
글로벌 OTA 연계 상품 출시 | 외국계 플랫폼과 협업해 공동 콘텐츠 설계 | 예약/결제는 글로벌 OTA, 운영은 국내 스타트업 | 접근성 확보 + 콘텐츠 주도권 유지 | 수익 배분 명확화 필요 |
팬 사인회 기반 이벤트 연동화 | 체험 상품 구매 → 팬 사인회 참가권 연계 | OTA-기획사-Promotion 협업모델 수립 | OTA 예약률 급등 + 팬심 강화 | 이벤트 운영 안정성 확보 필요 |
정책적 제언 및 시장 재편 전략
- 체험형 콘텐츠 IP 확보 지원 정책
- 체험 관광용 콘텐츠 기획 및 운영권 공공 공동 IP화
- K-팝 팬 경험 플랫폼 구축
- 콘텐츠, 팬동선, 후기 기반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 공공+스타트업 연계 운영
- 관광 스타트업 대상 OTA 통합 프로그램 운영
- 다국어 예약, 결제 시스템 + 콘텐츠 CMS 제공
- 글로벌 OTA 연계 API 개발 지원
결론
K-팝 팬들의 체험형 관광 선호도는 참여-인증-소유의 심리를 기반으로 진화하고 있다.
팬들이 선택한 TOP5 체험 콘텐츠는 단순 경험을 넘어, ‘팬의 정체성’으로 작용하며 관광 산업의 새로운 수익 축을 형성 중이다.
이 흐름을 국내 산업이 선점하기 위해서는 데이터 기반 기획력, 글로벌 접근성, 그리고 기획사와의 협업 모델 정착이 필요하다.
반응형